naxtlab

자료실

딥러닝과 영상처리기술을 융합한 자동화기술 전문기업

뉴스

#News

비용과 인력을 절감하는 실시간 방송 모니터링 서비스 출시

2022.12.23 넥스트랩에서 실시간 방송 모니터링 서비스를 오픈했습니다. 이제 더 이상 수동으로 여러 화면을 보며 모니터링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 실시간 모니터링 솔루션을 활용하시면, 자동으로 24시간 동안 지속 모니터링을 하고 에러가 발생하면 자동으로 알람을 송출하기 때문에 모니터링 엔지니어가 실수로 놓칠 수도 있는 부분까지 잘 잡아줍니다. 또한, 모니터링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되며, 쉽고 직관적인 UI로 실제 모니터링 업무를 하시는 분들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기존 모니터링 솔루션을 사용하시다가 혹시 ‘기능이 너무 많아 내가 원하는 기능을 찾아서 사용하기 어렵네.’ 하는 생각을 해보신 적 있으신가요? 이번에 넥스트랩에서는 ‘모니터링을 어떻게 하면 쉽고 간단하게 할 수 있을까’에 대해 고민했고, 그 결과 모니터링에 필요한 필수 기능들을 모아 사용자가 설정하고 조작하기 편리하게 제공합니다. 실제로 모니터링을 수행하시는 분들의 입장에서 가장 필요한 기능들을 준비했어요. 물론, 이게 끝이 아니며 TS 품질 모니터링과 같은 더 많은 기능도 활용 가능합니다![넥스트랩 실시간 모니터링 맞춤형 서비스 주요 기능]- 자동으로 영상과 음량 이상 탐지 - 이상이 발견되었을 때 알람 송출 및 자동으로 복구 시도 - 자리에 없어도 원격으로 리모컨을 통해 모니터링 화면 조작 가능 - 채널 이름과 숫자 및 콘텐츠가 변경되었을 때 자동으로 확인 후 업데이트하는 기능 - OTT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가능- 쉽고 사용자 친화적인 모니터링 프리셋 설정  위 사진에서 보시다시피, 모니터링하고 싶은 채널들을 설정하기만 한다면 영상과 음량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어요. 그런데 여기서 놀라운 사실! 저희 솔루션은 사람이 일일이 이 화면들을 들여다보지 않아도, 자동으로 영상과 음량을 확인하고, 심지어 영상 및 음성 품질에 이상이 생겼을 때 자동으로 복구 시도까지도 합니다!   <에러가 발생한 채널들에 대해 한눈에 모아볼 수 있는 페널티박스! 정말 편리하죠? >이상 현상이 발생하면 우선 알람이 가게 되고, 자동 복구 시도를 시작합니다. 사용자가 설정한 복구 횟수 및 절차에 맞춰 자동 복구를 시도했는데도 불구하고 해당 현상을 고칠 수 없다면, 에러와 함께 표시해 줍니다. 최대 4개의 슬롯을 동시에 띄워줄 수 있습니다.또한, 어떤 에러가 어느 채널에 얼마나 자주 일어났는지, 기간을 정해서 한눈에 보는 대시보드 기능도 있고요, 에러 발생 당시의 영상 및 페널티박스 알람에 대한 간단한 로그 기록까지도 제공합니다!사용 방법은 간단합니다. 저희 제품인 STB Multimeter와 OTT 셋톱박스를 연결 후, 슬롯에 미리 만들어진 스케줄을 걸기만 하면 자동으로 맞는 채널로 이동 및 화면과 음량 이상 유무를 확인합니다. 모니터링에 필요한 기능을 위해 미리 준비한 스크립트로 채널 이름, 번호, 그리고 측정 시간 등이 설정된 프리셋 기능이 제공되는데요, 그대로 사용하셔도 손색없지만 수정하고 싶으시다면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편리하게 수정해서 사용하실 수도 있습니다.그렇게 정해진 스케줄대로 모니터링을 자동으로 수행하다가, 이상이 없으면 계속해서 처음부터 모니터링하고, 이상이 발생한다면 자동으로 복구 동작을 실시하게 됩니다. 복구가 되지 않으면 페널티박스에 알람과 함께 송출되어 표시됩니다. 그뿐만이 아니라, 채널이 변경되었을 때도 미리 설정해둔 스크립트를 이용해 자동으로 채널 숫자와 이름을 확인하고, 업데이트까지 해서 관리를 쉽게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고객의 댁내 환경과 동일한 환경에서 고객의 체감 품질(QoE)을 모니터링 가능하답니다! 고객에게 더 좋은 유료 방송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모니터링 업무를 한층 더 편하게 해주는 자동 모니터링 솔루션! [email protected]로 문의해주시면 더 자세한 정보를 제공해 드립니다.

#Article

유료방송서비스 품질평가 (2) - 평가 기준

2022.12.12안녕하세요~! 지난번에는 유료방송서비스 품질평가가 무엇인지, 그리고 왜 실시하는지 등에 대해서 알아보았었는데요, 이제부터는 그 평가 기준들에 대해 자세히 다뤄보려고 해요.여러 평가 기준 중 오늘 첫 타자로 살펴볼 것은 ‘채널 전환 시간’이에요. 말 그대로 방송 채널을 변경하는 데에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고, 그 결과값을 보는 거예요. 구체적인 수동 측정 방법으로는 시청 중인 채널을 사람이 직접 리모컨으로 변경하고, 걸리는 시간을 측정합니다.채널 전환 시간유료방송서비스 품질평가에서 채널 전환 시간을 볼 때 2가지 측면에서 보는데요, 하나는 해상도별로 채널 전환 시간을 보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전환 유형별로 보는 것입니다.그럼 첫 번째로 해상도별 채널 전환 시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까요?유료방송서비스 품질평가에서 해상도별 채널 전환 시간을 볼 때, HD 화질에서 HD 화질로, HD에서 UHD 화질로, UHD 화질에서 UHD 화질로 보기도 하고, SD 화질에서 SD로, SD에서 HD 화질로, SD에서 UHD 화질로 총 6가지 방식으로 봅니다. 해상도는 SD→HD→UHD 순서로 화질이 더 좋아집니다. 2021년도에 실시한 평가 결과를 보면, 평균적으로 UHD에서 UHD 화질로 전환했을 때 시간이 가장 길었고, 반대로 SD 화질에서 다른 SD로 바뀐 경우는 채널 전환 시간이 가장 짧았습니다. 아무래도 UHD 화질이 가장 선명한 해상도라 픽셀 숫자가 많고 SD 화질은 초창기 DVD에서 쓰이던, 유튜브 등 동영상 스트리밍 플랫폼에서는 480p로 설정하는 화질이기에 채널 전환을 할 때 처리해야 하는 데이터양이 차이가 나게 되고, 그래서 이런 결과가 나온 듯 해요.다음으로 전환 유형별 채널 전환 시간을 보자면, 인접 채널 전환 시간과 비인접 채널 전환 시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인접 채널은 서로 붙어있는 채널(7번 채널을 시청 중이라면 6번과 8번 채널이 이에 해당합니다)이라, 리모컨의 채널 up/down 버튼을 통해 빠른 변경이 가능한 채널들입니다. 그래서 그런지 셋톱박스는 우리가 한 채널을 시청하고 있을 때 인접 채널의 정보를 미리 일부분 불러오고, 따라서 채널을 전환할 때 인접 채널 전환 시간이 조금 더 빠르다고 합니다. 비인접 채널은 인접 채널이 아닌 모든 채널입니다. 2021년도 평가 결과에서도 인접 채널 전환 시간이 비인접 채널 전환 시간에 비해서 약 0.2초 정도 더 빠르게 나왔지요. 셋톱박스 시작 시간두 번째 유료방송서비스 품질평가 평가 기준은 셋톱박스 시작 시간입니다. 이 시간은 이용자가 셋톱박스 전원을 켠 후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시점까지 걸리는 시간인데요, 작년 평가 결과를 보면 평균적으로 약 2.9초 정도가 걸렸습니다. 이 셋톱박스 시작 시간은 두 가지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는데, 하나는 대기 모드였던 셋톱박스를 다시 켜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전원까지 차단하여 셋톱박스를 완전히 끈 후 다시 켜는 것입니다. 유료방송서비스 품질평가에서는 이 두 가지 방식 중 대기 모드 상태인 셋톱박스를 켰을 때, 이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는 시점까지 시간을 측정하여 평가합니다. 실제로 가정에서도 TV를 보다가 끄고 셋톱박스도 끌 때, 전원까지 완전히 끊지 않는 이상 셋톱박스가 완전히 꺼지는 게 아니라 대기 모드로 돌아간다고 하네요! 채널별 음량 수준다음 유료방송 평가 기준으로는 채널별 음량 수준이 있는데요, 유료방송 평가에서는 채널별 음량을 데시벨로 측정하지 않고, LKFS라는 단위로 측정합니다.그럼 LKFS란 무엇일까요? 그건 바로 Loudness, K-weighted, related to Full Scale의 약자로, 사람이 실제 듣는 상대적인 크기를 고려하여 계산된 음량 값의 표준 단위랍니다. 보통 방송 프로그램의 표준 음량은 평균 음량을 -24LKFS로 규정하는데, 이 값은 최대 음량을 0으로 설정했을 때 사람이 가장 편안하게 들을 수 있는 음량을 일컫습니다. - 뒤에 붙은 수치가 높을수록 소리가 작아집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제정한 행정규칙인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프로그램 음량 등에 관한 기준에 따르면, ‘음량’의 정의는 인간이 느끼는 소리의 감각적 크기를 실험적으로 구한 값을 말합니다. 그리고 ‘LKFS’는 사람의 청각 인지 특성을 고려하여 계산된 음량 값의 표준 단위를 말하며, LKFS 단위에서 1dB의 레벨 증감은 1LKFS의 음량 값의 증감과 동일하다고 합니다. 유료방송서비스 품질평가에서 데시벨이 아닌 LKFS 단위로 측정하는 이유는, 이것이 국제적으로 합의된 방송·음향 분야 단위이기도 하고, 데시벨과 비교했을 때 비록 증감의 단위는 같지만 그래도 사람에게 더 잘 맞춰진 단위이기 때문입니다.2021년도 유료방송서비스 품질평가 결과로 본 채널 음량 수준은 모든 방송사가 표준 음량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났고, 채널별 음량 편차는 약 1.5dB로 방송 프로그램별 음량 허용 오차인 2dB을 넘기지 않고 정부에서 제시한 방송 프로그램별 표준 음량 기준을 준수했습니다.콘텐츠 다양성 콘텐츠 다양성은 각 사업자가 제공하는 최상위 상품 기준 실시간 채널 숫자를 봅니다. 무료 채널과 유료 채널의 숫자 모두 포함하여 평가하는데, 2021년도 평가 결과로는 평균 약 254개로 나왔네요. 또한 VOD를 장르별로 나누어 그 개수와 비율을 보는데요, 그 장르는 영화/해외 드라마, 애니메이션, TV 다시 보기, 교육, 다큐멘터리, 스포츠, 음악(영상), 키즈, 기타로 나뉩니다. 그중에서 TV 다시 보기는 또 드라마, 예능/오락, 시사/교양, 기타 등 세부적으로 구분됩니다. 2021년에는 영화/해외 드라마 장르가 전체 평균 약 32.6%로 가장 많은 수의 VOD가 여기에 해당하였네요!VOD 광고 시간VOD(Video On Demand-주문형 비디오)를 결제하면 보통 재생 전에 광고가 나오는데, 유료방송서비스 이용자가 콘텐츠를 보기 전 광고가 지나치게 오래 나오면 이용자 만족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광고 지속 시간 및 횟수가 품질평가 기준에 들어갑니다. 2021년도 유료방송서비스 품질평가 결과에 따르면 평균 광고 시간은 IPTV 평균 약 23초 정도였고, MSO 평균 약 12초였으며, 중소 SO 평균은 약 6초였습니다. 전체 18개 사업자의 평균 광고 횟수는 약 0.5회였고요.이처럼 유료방송서비스 품질평가의 정량평가 기준에 맞추기 위해서, 유료방송서비스 사업자는 정기적으로 셋톱박스 성능을 자체 테스트합니다. 테스트 방식은 업체마다 다르겠지만, 만약 이러한 테스트 업무를 자동화할 수 있다면 어떨까요? 업무 시간과 비용을 상당히 단축할 수 있겠죠!넥스트랩에서는 스크립트로 테스트 시나리오를 구성해서, 셋톱박스 시작 시간과 채널 전환 시간, 그리고 채널별 음량 수준 모두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IPTV 서비스를 제공하는 우리나라 3대 통신사(SK, KT, LG U+)가 모두 활용하는, 검증받은 솔루션이지요. 넥스트랩의 솔루션을 도입한 후 QA 생산성이 40% 이상 향상되었고, 재장애발생률을 50% 절감하여 고객 품질 관리 효율이 향상했다는 고객사의 평가가 있었습니다. 위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저희 제품과 셋톱박스를 연결하여 유료방송서비스 품질평가의 평가 기준에 해당하는 셋톱박스 시작 시간과 채널 전환 시간을 테스트 시나리오를 통해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어요!이제 2022년도 얼마 안 남았으니, 올해의 유료방송서비스 품질평가 결과도 곧 나오겠네요. 유료방송 평가 기준에 따라 자동으로 방송 서비스 품질을 측정해보고 싶으시거나 더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다면, [email protected]로 편하게 문의 주세요~

#Article

유료방송서비스 품질평가 (1) - 개요

2022.11.21안녕하세요~ 지난 글에서는 셋톱박스와 IPTV 서비스 품질을 왜 측정해야 하는지, 그 필요성을 살펴봤었죠! 이번에는 유료방송서비스 품질평가에 관한 글로 돌아왔어요~ 유료방송서비스 품질평가가 어떤 평가고, 어떤 기관에서 실시하는지, 왜 필요하고 유료방송 서비스 사업자들은 어떻게 받아들이는지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해요.유료방송서비스 품질평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2018년도에 시범으로 실시했고, 그 후 2019년부터 본격적으로 실시해 왔었던 평가로, IPTV, 케이블TV(MSO-Multi System Operator와 중소 SO-System Operator), 위성방송 등 유료방송 사업자를 대상으로 합니다. 가장 최근에 실시했던 2021년도 유료방송서비스 품질평가에서는 총 18개 유료방송 사업자를 구분해서 그 셋톱박스 상품들을 평가했는데요, 구체적인 평가 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IPTV - KT, SKB, LGU+, MSO(복수 종합유선방송 사업자) - LG 헬로비전, SKB(CATV), 딜라이브, HCN, 씨엠비, 중소 SO(지역 종합유선방송 사업자) - 아름방송, 남인천방송, 충북방송, 광주방송, 금강방송, 푸른방송, 울산중앙방송, 서경방송, 제주방송, 위성방송 - 스카이라이프이렇게 총 18개의 유료방송 사업자로부터 셋톱박스를 받아 평가하게 됩니다. 2021년도 유료방송서비스 품질평가는 당해 8월부터 11월까지 총 4개월 동안 실시했네요! 그렇다면 유료방송서비스 품질평가를 왜 실시할까요?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유료방송 가입자는 약 3,500만 명으로, 이 이용자들은 각자 다양한 기준을 세우고 유료방송 서비스를 선택하게 됩니다. 저마다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다르기 때문에, 어떤 유료방송 서비스를 선택할지 결정할 때도 고민해야 할 부분이 많은데요, 이 평가 결과가 소비자의 결정에 조금이나마 참고가 될 수 있는 자료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유료방송서비스 품질평가에는 이용자 만족도 등의 정성평가와 측정할 수 있는 값으로 나타나는 정량평가가 둘 다 들어가며, 이 결과를 통해 소비자의 선택권을 제고하고 사업자 간 품질 경쟁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유료방송 사업자들을 더욱 정확하게 비교하기 위해, 정량평가를 실시할 때는 구체적인 평가 기준을 세워서 시행합니다. 그 기준들은 셋톱박스 시작 시간, 채널 전환 시간, 채널별 음량 수준, 콘텐츠 다양성, VOD 광고 시간과 광고 횟수인데요, 각각의 기준들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는 다음 글에서 좀 더 자세히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이 외에도 이용자를 대상으로 조사단을 모집하여 의견을 수합하는 정성평가도 있는데요, 영상 체감 품질과 이용자 만족도 2가지 항목에 대해 평가를 실시합니다.유료방송서비스 품질평가의 결과는 어떤 점에서 중요할까요?우선 평가 결과가 수치로 보이기 때문에, 유료방송 서비스 사업자 입장에서는 우수한 평가 결과를 받았을 때 홍보 자료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정부에서 실시하는 평가이기 때문에, 좋은 점수를 받는다면 그만큼 서비스의 품질에 대해 소비자들이 믿고 선택할 수 있겠지요. 게다가 특정 평가 부문에서 1위를 하게 되는 경우, 관련 뉴스를 검색하는 사람들에게 경쟁사들에 비해 우수하다고 어필할 수 있습니다. <지역 종합유선방송 사업자 ‘푸른방송’이 평가 결과를 활용한 포스터>(출처: 푸른방송 홈페이지 https://www.gcs.co.kr/post/2175) (’1위’라는 타이틀, 눈길을 확 끄는군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즉 정부 부처에서 직접 실시하는 평가이기에, IPTV 서비스를 제공하는 우리나라 3대 통신사는 특히 이 평가를 중요하게 생각하는데요, 그래서 그런지 평소에도 고객 만족을 생각하며 셋톱박스의 성능을 꾸준히 검증하고, 그 결과값을 확인하며 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해 노력합니다. 게다가 평가 분야 중에서도 평소 테스트를 실시할 때 측정 결과값이 수치로 나오는 정량평가 영역은 충분히 끌어올릴 수 있는 부분입니다. 그래서 미리 각종 테스트를 여러 번 실시하고 결과값이 제대로 나오는지, 혹은 측정이 제대로 되지 않거나 측정 결과값이 지나치게 낮게 나오는 등 이슈가 발생하지는 않는지 정기적으로 확인하는 과정을 거칩니다.또한 소비자 입장에서는 유료방송 서비스에 가입하고자 할 때, 사업자들이 제공하는 정보 말고도 객관적인 추가 정보를 얻는 셈입니다. 당장 IPTV 서비스를 가입하고 싶다고 생각했을 때, 각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정보 말고도 정부에서 지정한 기준에 의거한 평가 결과가 있다면, 참고하고 결정하는 편이 좋겠죠? 현명한 소비를 위해 정보는 많을수록 좋으니까요. 여러분도 자신에게 맞는 유료방송 서비스를 선택하시고 항상 즐겁게 이용하시길 바래요! 넥스트랩의 솔루션을 이용하시면, 유료방송서비스 품질평가에서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기준값들을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답니다! 저희 솔루션을 사용하시면 셋톱박스 성능과 인터넷 속도를 자동으로 검증할 수 있는데요, 테스트 자동화뿐 아니라 실시간 모니터링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기능이 있습니다. 유료방송서비스 품질평가를 위해 준비할 때 구체적으로 어떤 기준들에 맞춰 어떻게 측정하고, 그 결과를 어떻게 보는지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다음 글에서는 측정 기준들에 대해 더 자세히 다뤄보도록 할게요!

#Press Release

신문 원문 디지털화 자동화 기술 개발 성공(특허 획득)

2022.11.10 넥스트랩이 신문 원문 디지털화 자동화 기술 개발에 성공하여 마침내 특허를 취득했습니다! 이 기술은 신문 원문 pdf를 AI를 활용하여 자동으로 인식하고, 모바일이나 태블릿 등으로 손쉽게 인터넷 뉴스 매체에서 보는 것처럼 자연스럽게 읽을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입니다.이번에 KOLAS 시험 인증에 통과했고, 특허도 출원 받았답니다!유능한 넥스트랩의 개발자 분들 덕분에 독자적으로 OCR 기술을 개발하여 (주)플랜티엠에 납품했습니다.  굉장해요!다음은 아이티비즈에 실린 기사 원문입니다. 출처:  (아이티비즈 http://www.it-b.co.kr/news/articleView.html?idxno=63924)  <신문 원문 디지털화 솔루션 활용 사진> AI 비전 기술 및 OCR 전문기업 넥스트랩과 디지털 콘텐츠 유통 전문기업인 플랜티엠이 AI 기반 신문 원문 디지털화 자동화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8일 밝혔다.지난해 12월 언론재단협회 신문사를 대상으로 한 POC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친 후, 2022년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의 AI 바우처 지원 사업에 선정되어 기술 및 사업성을 인증 받았고 약 6개월의 개발기간을 거쳐 KOLAS 시험인증을 통과했다. 또한 향후 기술 고도화와 사업 협력을 위한 MOU도 체결을 완료했다.AI 기반 신문 원문 디지털화 자동화 기술이란 언론사에서 제공하는 신문 원문 PDF 파일을 AI 기반으로 분석하여 △AI 기반 레이아웃 분석 △AI 기반 OCR 처리 △AI 기반 자연어 처리 △검수 처리 과정을 통해 전용 태블릿 등에서 디지털 뉴스와 같은 수준의 UX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다.이러한 디지털화 자동화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 넥스트랩이 자체 개발한 최신 딥러닝 기반의 신문 전용 단락 구분(Layout Parser), 동일 기사 묶기(News Clustering), 뉴스 카테고리 분류, OCR 기술들이 사용되었고 플랜티엠이 개발한 신문 전용 뷰어 앱과 연동 작업을 완료했다.<신문 원문 디지털화 자동화 솔루션 개념도>기술 개발을 완료함에 따라 국내 메이저 언론사를 대상으로 서비스 준비를 진행 중이며 언론사 외 도서관 및 항공사와도 서비스 계약을 진행 중이다.플랜티엠 이광우 대표는 “넥스트랩과의 이번 업무 협약으로 AI 기반 신문 원문 디지털화 자동화 기술 개발이 완료되면 수많은 언론사 자료를 매일 백여명이 담당하여 변환해야 하는 업무를 최소한의 인력으로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되었다”며 “넥스트랩의 우수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높은 만족도를 이끌어낼 뛰어난 전자신문 서비스를 선보이겠다”고 말했다.넥스트랩 이창근 대표는 “창업 이래 AI Vision과 OCR 기술이라는 일관된 테마로 방송·통신, Smart Work, 차량 관제 시장에서 다년간 역량을 쌓아온 결과, 이번 플랜티엠과의 기술개발 성공 및 공동 업무 협약을 통해 다른 업체와 차별화된 기술을 시장에 선보일 수 있어서 고무적이며, 지속적인 기술 개발과 플랜티엠과 같은 우수한 파트너사와 함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시장에서 요구하는 신뢰성 높고 안정적인 솔루션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Article

셋톱박스/IPTV 품질 측정의 필요성

2022.11.07 최근에 TV를 구매해보신 적 있으신가요? 요즘에는 가전제품 매장에 가서 TV를 고르고, 설치할 때 통신사를 불러 인터넷 결합형 요금제 등을 사용해서 셋톱박스를 설치하여 이용하시는 분들이 많이 계실 거예요. OTT 서비스만 이용하기 위하여 TV를 구매하실 수도 있지만 뉴스나 드라마와 같이 다양한 콘텐츠를 시청하시고자 하시는 고객분들은 현재 IPTV 서비스를 많이 사용하고 계실 거예요.  여기서 잠깐! OTT 서비스와 IPTV 서비스의 차이점을 알고 계시나요? OTT란 Over the Top(OTT)의 줄임말로, ‘셋톱박스를 넘어’ 다양한 플랫폼에서 방송 프로그램이나 영화 등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OTT 서비스는 어느 통신사의 인터넷망을 사용하든 상관없이 TV나 모니터 등 HDMI 단자가 있는 출력장치에 연결하고 인터넷 접속만 가능하다면 사용할 수 있답니다. 그리고 IPTV란 Internet Protocol Television의 줄임말로, 인터넷을 사용하여 소비자에게 디지털 텔레비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합니다. 둘의 차이란, 보통 IPTV 서비스가 보다 폭넓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편입니다. 실시간으로 시청 가능한 많은 수의 채널과 OTT 서비스, 게다가 게임에 이르기까지, 방대한 콘텐츠를 자랑합니다. 반면 OTT 서비스라 하면 넷플릭스나 디즈니플러스, 왓챠 등과 같이 인터넷을 통한 VOD 콘텐츠를 판매하는 업체를 떠올리시면 됩니다.    TV를 시청하실 때 셋톱박스를 같이 사용하시는 분들이 많으시죠? 이렇듯 셋톱박스 하나쯤 가정에서 보유하고 계신 분들이 많이 계실 텐데, 항상 최상의 성능을 보여준다면 좋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지요. 예를 들어, 셋톱박스가 느리게 켜진다거나, 외부입력을 전환했을 때 볼륨이 갑자기 커지거나 작아지는 경우가 한 번쯤 있을 거예요. 저는 예전에 펜션으로 놀러 가서 TV를 켰을 때, 화면이 깨지는 현상을 경험해본 적이 있어요. 프로그램을 재미있게 시청하고 있었는데, 그 현상 때문에 몰입이 깨지더군요.   IPTV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입장에서, 콘텐츠를 시청하는 중이나, 노트북에 연결해서 외부입력을 전환하여 온라인으로 다른 콘텐츠를 보다가 다시 셋톱박스로 전환할 때, 화면이나 볼륨의 품질이 떨어지면 불만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어쩌면 그런 문제가 발생함으로써 다음에 해당 IPTV 서비스 사용률이 줄어들 수도 있겠지요. 성격이 급한 분들은 고객센터에 바로 전화해서 따지거나 하실 수도 있고, 그렇지 않더라도 통신사나 셋톱박스를 바꿔야겠다고 마음먹는 분들도 계실 겁니다.  IPTV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사에서는 고객에게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서비스 사용률을 높이기 위해서 셋톱박스의 성능을 측정합니다. 그렇다면 셋톱박스의 성능이나 IPTV 서비스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어떨까요? 이렇게 제품이나 서비스를 출시하기 전에 성능이나 품질을 측정하고 검증하는 과정을 QA(Quality Assurance)라고 합니다. 많은 QA 업체에서는 *Test Case 내역을 보며 직접 손으로 리모컨 등을 조작하여 STB를 작동하며 테스트를 진행합니다. 직접 손으로 조작하거나 모니터링 등을 하게 될 경우 많은 시간과 인력이 필요합니다. 넥스트랩에서 제공하는 STB Multimeter를 사용하는 고객들은 바로 이 셋톱박스 성능 검증 과정을 자동화하여 많은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고 있습니다.  *Test Case: 테스트 케이스는 특정 테스트 목표 / 목표를 검증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일련의 지침으로, 시스템의 예상 동작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알려줍니다.  정부에서는 매년 ‘유료 방송 품질평가’를 통해 IPTV 서비스의 품질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발표합니다. 셋톱박스 시작 시간, 채널 전환 시간 등 몇 가지 기준에 의거하여 측정하고 있는데요, 자세한 측정 기준들에 대해서는 앞으로 다룰 테니 관심을 갖고 넥스트랩의 다음 글을 기대해주세요!

#Press Release

AI 기반 고속도로 드론 관제 자동화 기술 개발 성공(특허 획득)

2022.11.04넥스트랩에서 드디어! AI 기반 고속도로 드론 관제 자동화 기술 개발에 성공했어요!이 기술은 고속도로 차선 준수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자동으로 신고 처리까지 해주는 기술인데, 이번에 KOLAS 시험 인증에 통과하였고 특허까지 출원했습니다.완성도 높은 솔루션을 자체 개발하여 (주)솔더 측에 납품해서 뿌듯합니다!이번 솔루션으로 인해 우리나라 교통경찰들의 업무량을 줄이고, 시간을 아낄 수 있다면 좋겠네요!다음은 인공지능신문에 실린 기사 전문입니다. 출처: 인공지능신문 (https://www.aitimes.kr/news/articleView.html?idxno=26398) <솔루션 이미지>인공지능 비전(AI Vision) 기술 전문기업 ㈜넥스트랩(대표 이창근)과 드론 운영 및 제조 전문기업인 (주)솔더(대표 김학진)가 AI 기반 고속도로 드론 관제 자동화 기술 개발에 성공하였다. 2021년 12월 천안휴게소에서 한국도로공사 담당자와 군 관계자 앞에서의 데모 시연을 성공적으로 마친 후, 2022년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의 AI 바우처 지원 사업에 선정되어 기술 및 사업성을 인증 받았고 약 6개월의 개발기간을 거쳐 공동특허 출원, KOLAS 시험인증을 통과하였다.AI 기반 드론 고속도로 관제 자동화 기술은 고속도로 관제 업무를 수행할 때 드론을 통해 촬영한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차선 위반 차량을 자동으로 감시하고 위반 차량에 대해서 자동으로 신고까지 처리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로 교통경찰의 업무량을 줄이고 더 나아가 운전자들에게 교통질서를 준수하게끔 장려할 수 있게 되었다. <2021년 12월 성공적인 기술 시연 이후 찍은 사진>이러한 관제 자동화 기술에 사용된 ㈜넥스트랩 측의 차량 인식(Vehicle Detection), 차종 인식(Vehicle Type Recognition), 그리고 번호판 인식(License Plate Recognition) 기술은 이미 주유소나 중고차 거래 업체에 납품되어 그 효과를 검증한 바 있다. 드론 기체는 솔더에서 자체 제작한 고속도로 단속용 모델인 SD810이 사용되었다.이 모델은 일반 DSLR 카메라 탑재가 가능하고 고화질 촬영을 위한 안정적인 비행 성능이 매우 우수하기 때문에 관제 자동화 솔루션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다.특히 이번 개발기간에 관제 업무 수행 중 바람에 흔들리는 드론 촬영의 상황에서도 고속도로 차선 인식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드론 영상 전용 차선 인식 알고리즘 개발에 성공하여 특허 출원에 반영되었다.한편, 솔더는 2001년에 법인을 설립하여 강원도 최초로 산업용 드론을 직접 생산하는 업체로서 드론뿐만 아니라 방송·통신, 교육기자재, 음향·영상 장비 등을 제조·판매하는 4차 산업혁명에 앞서가는 혁신형 기업이다.넥스트랩은 2012년에 설립되었으며, 비전 AI 기술과 디바이스 하드웨어를 융합한 검사 계측, 자동화 테스트 솔루션을 전문적으로 제공하는 기업이다. 현재 셋톱박스 성능 및 인터넷 속도 측정 솔루션, 융합 기술 기반 자동차 인식 솔루션, 그리고 공장에서 AI를 활용한 이물 검출 솔루션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분야에서 인공지능과 딥러닝을 활용한 솔루션을 연구 및 제공하고 있다. 

#News

넥스트랩, AI 기반 Macro Block(영상 속 화면 깨짐) 3세대 탐지 엔진 개발

  ㈜넥스트랩은 최근 3세대 AI 기반 Macro Block(영상 속 화면 깨짐 현상) 실시간 탐지 엔진을 개발하여 출시했습니다. 이번에 새롭게 출시한 3세대 엔진은 비교 영상 자료가 없어도 화면 깨짐을 탐지할 수 있는 Non-reference 영상 기반 검출 방식을 적용했습니다.넥스트랩은 2014년 Macro block 알고리즘의 첫 출시 이후, 현장 운영 경험을 쌓아오면서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진행하였으며 전세계 가장 최신의 알고리즘을 활용하고 있답니다! 특히, 지난 세대 엔진과 비교하여 개선된 점으로는 다양한 영상 장르에서 탐지 정확성 향상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고유의 특허 기술을 활용하여 대규모 학습 및 튜닝을 진행했습니다.[Macro Block 탐지 엔진 세대별 비교표]   *정확도: 전체 데이터 중에 깨진 부분을 깨졌다고 인식하고, 깨지지 않은 부분을 깨지지 않았다고 올바르게 인식할 확률*과검 억제율: 화면이 깨진 부분을 깨졌다고 올바르게 인식할 확률*미검 억제율: 화면이 깨진 부분을 인식하지 못하는 현상(미검)을 줄이는 확률2세대 엔진에서는 과검 억제율이 낮아, 실제로는 Macro block이 발생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화면이 깨졌다고 인식하여알람을 보내는 횟수가 높았습니다. 검증 인력이 수동으로 확인하였던 부분을 자동화하여 업무 효율성을 개선하였지만 보완할 점이 많았습니다.이번에 새롭게 선보이는 3세대 엔진에서는 영상 탐지 기술을 개선하여, 정상적인 화면에서 화면 깨짐을 잘못 인식하는 횟수를 획기적으로 줄였답니다!뿐만 아니라, Macro block이 발생하였지만 탐지하지 못하고 정상 화면으로 인식하는 횟수도 줄여서 전반적으로 엔진의 정확성을 끌어올렸습니다~!      [3세대 엔진이 방송 영상에서 Macro Block을 탐지한 사진]  [2세대 엔진과 3세대 엔진에서의 탐지 화면 비교] (왼쪽: 3세대 엔진/오른쪽: 2세대 엔진)위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정확하게 화면 깨짐 현상을 탐지하기 힘든 물결과 옷의 주름, 잔디 등이 있는 영상에서도  3세대 엔진은 매크로 블록을 정확하게 잡아냅니다! 이렇게 사진을 보니까 기술의 발전이 체감되지 않나요? ^^ Macro block 탐지 기술은 유료 방송 서비스 분야에서 다음과 같이 활용할 수 있답니다. -      장치에 대한 Aging test -      유료 방송 및 IPTV 서비스 고객 품질 검증/관리 팀에서 방송 송출 품질 모니터링-      네트워크에서 Head End 등 개선 작업을 진행한 후, 그 영향을 검증STB Multimeter 솔루션과 함께 활용하면, 다양한 시나리오에서 자동 모니터링도 가능합니다.  -      여러 개의 채널을 반복하는 Round Robin 모니터링-      Freeze(화면 멈춤), Loudness(채널별로 볼륨 크기가 상이함) 동시 모니터링-      알람 발생 기준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정하고, Legacy System으로 알람을 전송    Macro block 탐지 기술을 활용하면 유료 방송 사업자들은 모니터링 조직을 따로 구축해서 운영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기존 모니터링 인력이 구축되어 있다 하더라도, 눈으로 직접 화면을 장시간 볼 필요성이 줄어들기 때문에 검증인력의 작업 효율성을 늘리고 피로도를 줄여줄 수 있습니다. 그 밖에도 알람 Rule 설정을 통해 고객 불만이 높은 상황들의 검출에 집중할 수 있으며, Freeze, Black Screen, Loudness, Mute와 같은 지표들을 동시에 모니터링 할 수 있답니다~! Macro Block 탐지 기술 및 솔루션에 대해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email protected] 로 문의 부탁드립니다~!

#Exhibition/Event

글로벌 미디어 기술 쇼 IBC 2022에 다녀왔습니다 :)

넥스트랩이 추석연휴 기간인 9월 9일~12일동안 IBC2022에 참석했습니다!! IBC는 국제 방송 컨벤션(International Broadcasting Convention)의 약자로, 매년 9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의 RAI 컨벤션 센터에서 열리는 무역박람회예요. IBC는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및 기술 쇼로서,방송사, 콘텐츠 제작자/제공업체, 장비 제조업체, 전문 기술 협회 및 기타 방송, 엔터테인먼트 및 기술 산업 참가자를 대상으로 합니다. 올해도 약 1,069개의 세계 기술 공급업체를 전시하고, 토론을 주도하는 컨퍼런스를 선보였어요.  넥스트랩도 이번에 공급업체로 국제 전시회에 참가하였는데,너무 너무 자랑스럽죠?? (박수~~~ 짝짝짝짝!)넥스트랩의 부스위치는 hall 8. A92 였는데요,IBC2022 시작은 프랑스 nPerf 와의 MOU체결로 기분좋게 시작했습니다.(nPerf와의 MOU 관련 자세한 소식은 다른 뉴스에서 자세히 알려드렸는데 기억하시죠? ^.^) 다음날 IBC Daily 뉴스에도 이 소식이 실렸어요~~!!  넥스트랩의 부스 위치가 메인홀과의 거리는 조금 있었지만, 솔루션에 관심을 가지고 많은 분이 방문해주셨답니다.솔루션에 대해 열심히 설명하는 대표님과 손호준 선임연구원의 모습.너무 멋지지 않나요?   IBC2022 전시회 기간 동안 넥스트랩 부스에 방문해주셨던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마지막으로 전시회에 참가한 우리 NEXTLabber 전체샷을 마지막으로, 내년 4월 NAB Show 에서 또 만나요!안녕~!!! ^0^  

#Press Release

NEXTLab과 nPerf의 MOU 체결 소식을 알려드립니다!

2022.9.20      9월 9일부터 12일까지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열린 IBC2022(국제방송컨벤션)에서 넥스트랩이글로벌 인터넷 속도 측정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는 프랑스 업체 nPerf SAS와 사업 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습니다!이번 협약과 동시에 넥스트랩은 nPerf 인터넷 속도 측정 라이선스 사용 계약도 체결했어요.  이번 MOU 체결을 통해 양 회사는 전세계 인터넷 서비스 사업자, 네트워크 구축/운영 사업자를 대상으로 기존 경쟁 기업과 차별화된 서비스형(as-a-Service) 계측기와 솔루션 공동 개발에 착수하게 되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넥스트랩은 휴대형 인터넷 서비스 품질 계측기 ‘netMeter’의해외 시장 출시에 필요한 글로벌 인터넷 속도 측정 서비스 라이선스를 확보하게 되었습니다.해외 시장 진출을 준비하는 'netMeter' 제품은인터넷 속도뿐만 아니라 IP방송 수신 품질 등을 복합적으로 측정하는 휴대형 인터넷 서비스 품질 계측 제품입니다.인터넷 가입자의 품질 만족도 제고는 물론, 불필요한 반복 출동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필수 제품으로 인식되면서 점차 도입하는 통신사업자가 늘어나는 추세예요. <넥스트랩의 휴대형 인터넷 서비스품질 계측기 ‘netMeter’> IBC 전시회를 통해 더더욱 성장하는 넥스트랩! 다음에는 전시회 후기로 찾아뵐게요 :)더 궁금하신 분들은 다음 링크에서 뉴스 기사를 확인하실 수 있어요: https://view.asiae.co.kr/article/2022091610090263837

#Exhibition/Event

2022 IBC에 NEXTLab이 참가합니다!

 NEXTLab이 세계 3대 미디어 산업 전시회인 IBC 2022에 참가합니다!올해 IBC(International Broadcasting Convention)는 2년 만에 대면 행사로 9월 9일(금)~12일(월)까지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RAI에서 진행됩니다.NEXTLab은 IPTV, OTT 등의 PayTV 서비스 QA 프로세스를 효율화하고,인력 의존성을 줄일 수 있는 STB Multimeter 솔루션을 세계 시장에 선보일 예정입니다! 전시회에서 제공할 솔루션은 다음과 같습니다.(1) Script-less기반 무작위 테스트 : 서비스 Software 전반적인 안정성을 확보하고 신뢰성을 자동으로 검증합니다.(2) Back-Data 시각화 : 장애가 발생했을 때, 그 원인을 분석하고 분석 시간을 단축시키며 동시에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조직을 정확히 지정할 수 있습니다.(3) 풍부한 Back-Data 수집 : 장애를 자세히 분석하여 장애 해결을 위한 재현 테스트가 불필요해집니다.  NEXTLab은 이번 IBC 참가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해외 시장 진출을 추진하여 세계 시장에서 인정받는 대한민국 대표 검사·계측 브랜드로 발돋움할 것입니다.이번 IBC를 통해 한국 시장을 넘어 전세계 PayTV Service Provider들의 QA 프로세스 혁신에 기여하는 브랜드가 되겠습니다.여러분의 QA 프로세스 혁신에 기여할 수 있는 NEXTLab을 이번 IBC 2022에서 만나 보시기 바랍니다. 

#Inside NEXTLab

2022년 전사워크샵

코로나로 인해 잠시 중단 된 넥스트랩 전사 워크샵이 다시 돌아왔습니다!  2019년 1월 이후 처음 떠나는 전사 워크샵 이라서 더욱 설레는 마음이였는데요. 장소는 강화도로 떠났습니다~~ 넥스트랩이 많은 성장을 하여 처음 버스도 대절을 하게 되었는데 감회가 무척 새로웠습니다. (열심히 달려 온 직원들에게 모두 박수 박수 박수!) 오랜만에 떠나는 만큼 과감하게 업무일정은 싹싹 빼고 노는 일정으로만~!! 강화도로 도착하여 맛있는 점심을 먹고, 처음 진행한 일정은! “루지” 입니다.   리프트를 타고 산으로 올라가니 멋진 경관이 펼쳐졌는데요, 멋진 풍경을 배경으로 루지를 타고 시원하게 내려오니 우리 모두 고민, 걱정이 날아가는 듯 했습니다.   루지를 재밌게 타고 숙소로 돌아와 각자 족구도 하고 숙소 앞 바다 산책도 하고, 쉬는 시간을 보낸 후 푸짐한 바베큐 파티를 즐겼습니다. 놀러와서 먹는 고기는 역시 꿀맛이지요!    다음은, 소문난 레크레이션 맛집! 배불리 먹고 모두 아쉽다고해서 늦게 시작한 레크레이션인데, 이렇게 열심히 할 수 있나요? 그동안 레크레이션 못해서 힘들었나요..? (밤 11시까지 레크레이션 했.. 다들 배꼽 빠졌다는 후문..ㅋㅋ) 이 날 MVP로 뽑힌 김준한 인어공주임님께 정말 무한 박수를 보내고 싶습니다!  불타는 밤을 보내고 다음날, 역시나 맛있는 점심(꽃게탕)을 먹고, 100년 역사가 있는 “금풍 양조장”을 방문 했습니다. 양조장 투어를 예약하고 방문하였고, 처음 방문하자마자 사진을 찍고 시작을 하였습니다. (이는 다~ 이유가 있었으니..) 양조장 투어를 하기 전 금풍양조장의 역사와 전통술에 대한 설명을 들으면서 막걸리 시음을 하였는데요. 이 것은 시음이 아니야.. 많은 종류의 막걸리를 아낌없이 턱턱 내주시면서 다양한 음주?를 할 수 있었고 양조장 투어를 진행하면서 100년의 좋은 기운을 흠뻑 받고 올 수 있었습니다.  선물도 알차게 챙겨주시고 (막걸이 왕창 + 보냉백 + 액자 사진 수두룩) 투어를 마치고 자리에 돌아왔는데, 처음 방문했을 때 찍은 단체 사진과 저희 넥스트랩 로고가 프린팅 되어있는 인삼막걸리 라떼를 준비해 놓으셨습니다.금풍 양조장의 센스에 반하고! 맛에 두번 반하고!! 정말 투어가 이렇게 감동적일수 있다니요..♥  마지막까지 알차고 뜻깊은 투어였습니다. 워크샵 계획하고 계신 다른 회사 담당자님들, 금풍양조장! 열번 백번 추천합니다!!  마지막까지 열심히 놀고 에너지 충전한 NEXTLabber! 충전한 에너지로 열심히 성장하여 다음 워크샵은 버스 대절이 아닌 비행기를 타고 있길 기대합니다! 

#Press Release

AI 기반 고속도로 드론 관제 자동화 성공 시연((주)솔더)

 출처 : 인공지능신문(http://www.aitimes.kr/news/articleView.html?idxno=23706)인공지능 비전(AI Vision) 기술 전문기업 넥스트랩(대표 이창근)과 드론 운영 및 제조 전문기업인 솔더(대표 김학진)가 AI 기반 고속도로 드론 관제 자동화 기술 시연을 지난 16일, 천안휴게소에서 한국도로공사, 관련 기업, 군관계자들이 참관한 가운데 성공적으로 진행됐다.아울러 이 행사를 바탕으로 향후 고속도로 드론 관제 자동화 사업을 공동으로 진행하기 위해 양사는 “AI 기반 드론 고속도로 관제 자동화 기술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인공지능 기반 드론 고속도로 관제 자동화 기술은 드론을 통해 고속도로 관제 업무를 수행할 때 실시간 AI 영상 분석 기능을 도입하여 차선 위반 차량을 자동으로 감시하고 위반 차량에 대해서 자동으로 신고까지 처리하는 기술이다.이러한 관제 자동화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 넥스트랩이 자체 개발한 최신 딥러닝 기반의 차선 인식(Lane Detect), 차량 인식(Vehicle Detect), 차종 인식(Vehicle Type Detect), 번호판 인식(License Plate Recognition) 기술이 사용되었고,드론 기체는 솔더에서 자체 제작한 고속도로 단속용 SD810이 사용되었는데 일반 DSLR 카메라 탑재가 가능하고 고화질 촬영을 위한 안정적인 비행성능이 매우 우수하다고 평가받고 있다.솔더 김학진 대표이사는 “넥스트랩과의 이번 업무 협약으로 AI 기반 드론 고속도로 관제 자동화 기술이 도입되면 드론 비행, 카메라 촬영을 각각 담당하는 2명이 1조로 운영되어야 했던 드론 관제 업무를 1명이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되며 더 나아가 드론과 AI 기술을 융합하여 차량/보행자 관제 시장에서 기존 패러다임을 넘어서서 새로운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제품 및 솔루션을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넥스트랩 이창근 대표이사는 “창업이래 AI Vision 기술이라는 일관된 테마로 방송통신, 스마트팩토리, 차량 관제 시장에서 다년간 역량을 쌓아온 결과, 이번 솔더와의 기술개발 업무협약 및 데모 시연을 통해 다른업체와 차별화된 기술을 시장에 선보일 수 있어서 고무적이다"라며, "지속적인 기술 개발과 솔더와 같은 우수한 파트너사와 함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시장에서 요구하는 신뢰성 높고 안정적인 솔루션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