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3.31안녕하세요~! 지난 번에 넥스트랩이 라스베가스에서 열리는 NAB 쇼에 참가한다고 했던 것 기억하시나요?해외 전시회를 준비할 때는 많은 어려움이 있죠. 언어의 장벽과 시차, 게다가 낯선 장소에 방문한다는 점 때문에, 부스 준비부터 일정 관리 및 여행 경비에 이르기까지 국내 전시회에 참가할 때에 비해서 생각해야 할 부분이 많습니다.작년 9월에 IBC 2022가 열렸을 때, 넥스트랩은 글로벌 시장에서 인지도를 올리기 위해 아무 지원 없이 단독으로 참가하여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전시했던 적이 있는데요, 올해 NAB 쇼 2023의 경우에는 한국관(Korea Pavilion)이 있어서 도움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부스 대여료, 물품 준비 등에 있어서 지원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이 특히 좋았죠.이번 한국관 전시 참가 주관은 KOTRA와 한국정보통신기술산업협회가 맡았고요, 우리나라에서 총 15개의 기업이 참가하였습니다. 넓디 넓은 라스베가스 컨벤션 센터에서 Central Hall과 West Hall, 이 2개의 전시장에 걸쳐 한국관이 전시합니다. 이 중 넥스트랩은 West Hall에 있는 한국관에서 전시를 하게 되었는데, 그 이유는 West Hall의 전시 주제가 Intelligent Content, Connect, Capitalize로 나뉘어 있고 그 중에서 Capitalize 영역에 방송·통신 사업자를 위해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들이 많이 전시하기 때문입니다.방송·통신 분야에는 콘텐츠 제작부터 방송 장비 제작 및 대여 등 관련 산업이 많은데요, 넥스트랩은 방송 품질 관리 영역에 해당하는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IPTV와 OTT 시장이 커지고, 이제 유료 방송 플랫폼을 구독하는 소비자가 많을 텐데요, 구독자들에게 항상 좋은 품질의 방송을 제공하고 싶은 유료 방송 사업자들의 필요를 잘 이해합니다. 또한 넥스트랩은 셋톱박스 성능 측정 테스트부터 실시간 영상 품질 모니터링 솔루션에 이르기까지, 화면 깨짐/멈칫거림 감지와 음량 이상 감지 등 구독자들의 체감 품질을 높게 유지하고, 고객사의 구독자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좋은 방송 품질을 유지하려면 셋톱박스의 성능도 중요합니다. 셋톱박스 성능 테스트를 돌리고 싶은 특정 영역을 지정해서 그 안에서 무작위 테스트가 가능한 인텔리전트 몽키 테스트(Intelligent Monkey Test)에 대해서 지난 글에서 다뤘었는데요, 특히 새로운 콘텐츠나 앱을 편성해서 업데이트할 때 집중적으로 테스트하고 싶은 메뉴들과 테스트할 비율을 지정하여, 그 영역 안에서 무작위로 테스트를 돌리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죠. 게다가 반드시 무작위로 테스트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무작위 테스트를 돌리고, 시간을 지정하여 일정 시간이 지난 후 기존 방식대로 스크립트 기반 테스트를 돌리다가 다시 무작위 테스트를 돌릴 수도 있습니다. 모든 테스트 과정은 내역이 남기 때문에, 나중에 오류가 발생했던 부분만 골라서 재현해볼 수도 있답니다.방송 품질 테스트를 위한 솔루션은 더 많이 있습니다! 현재 방송 중인 채널들의 방송 상태를 한 화면에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솔루션도 있죠. 한 화면에서 일정 시간 동안 특정 채널의 화면을 띄우고,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다음 채널 화면을 띄우고 화면 멈춤이나 음량 차이, 매크로블럭(화면 깨짐 현상) 등이 발생하지 않는지 자동으로 탐지합니다. 화면 품질 저하 현상을 탐지했을 때는 사전에 미리 지정한 절차대로 자동으로 복구 시도를 한 후 복구가 안 되었을 때 알람을 띄워 사람이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합니다.방송 영상 품질 측정 및 음량 측정, UI 반응 시간 및 채널 전환 시간 등 다양한 요소를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하는 넥스트랩! 이번에 한국관을 통해 NAB 쇼에 참가하면서 좋은 점이 한 가지 더 생겼는데요, 그것은 바로 한국관에서 참가 업체들을 위한 자료집을 만들어 줬다는 점입니다! NAB 쇼에 한국관을 통해 참가하는 모든 업체들의 부스 위치와 회사 소개 및 제품 소개를 한눈에 알 수 있답니다. 더구나 이렇게 좋은 자료를 무료로 활용할 수 있다니, 정말 좋은 기회죠. 한국관 제작 자료집에서 넥스트랩에 관한 부분을 발췌해 왔는데, 올해 NAB 쇼가 크게 열리는 만큼 이 자료를 가이드로 삼아서 한국관에 한 번 방문해보시는 것은 어떨까요?NAB 쇼 컨퍼런스 및 교육 세션은 4월 15일 토요일부터 시작하고, 전시 기간은 4월 16일 일요일부터 시작합니다. 4월 16일부터 넥스트랩을 한국관 내 부스 W2561에서 만나요!
넥스트랩, NAB Show 2023에 참가
2023.03.10 올해 4월 16일~19일까지 미국 라스베가스 컨벤션 센터에서 열리는 NAB 쇼에 넥스트랩이 참가합니다. NAB는 “The National Association of Broadcasters”의 약자로, 방송·통신 분야에서 가장 큰 전시회 중 하나이며, 특히 이번에는 100주년을 기념하여 더욱 성대하게 열릴 예정이랍니다!이렇게 세계적인 전시회에서 넥스트랩이 올해 선보일 새로운 영상 품질 측정 솔루션은, 바로 자사 제품 ‘STB Multimeter’를 이용한 인텔리전트 몽키 테스트(Intelligent Monkey Test)입니다. 셋톱박스의 성능 테스트에 있어서, 이번 인텔리전트 몽키 테스트가 기존 시나리오 기반 테스트와 무작위 테스트(Random Test, 또는 Monkey Test라고도 불림)와 비교했을 때 가장 큰 차이점은, 시나리오 기반 테스트처럼 테스트 과정을 통제하는 것도 아니고, 무작위 테스트처럼 무작위로 버튼을 누르며 테스트하는 것이 아닌, 원하는 특정 영역 내에서만 무작위로 테스트를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이는 테스트를 하기 위해 스크립트를 짜서 준비해야 하는 시나리오 기반 테스트를 할 때에 비해서 테스트 준비 시간을 절감해 주며, 무작위로 버튼을 누르고 메뉴를 이동하는 완전 무작위 테스트에 비해서는 영역을 지정해서 그 안에서 테스트를 하기 때문에, 유의미한 오류를 더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해줍니다. 이처럼 인텔리전트 몽키 테스트는 각 테스트 방식의 장점을 다 갖춘 셈입니다. 넥스트랩은 셋톱박스 성능 측정 및 모니터링 솔루션과 네트워크 품질 측정 및 모니터링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이번 NAB Show에서 두 제품을 전시하는데, 하나는 ‘STB Multimeter’이고 다른 하나는 ‘netMeter’입니다. ‘STB Multimeter’는 다양한 셋톱박스 성능 측정 및 모니터링 기능과 영상 품질 측정 및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합니다. 또한 ‘netMeter’는 작아서 휴대하기 편하며, 인터넷 설치 현장에서 바로 네트워크 품질 측정 및 지사에 설치 후 24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합니다. 전시회에 참여하신다면, 넥스트랩의 부스에 방문하셔서 인텔리전트 몽키 테스트뿐 아니라 유료 방송 서비스 가입자의 체감 품질 측정 등 다양한 셋톱박스와 네트워크 품질 테스트 및 모니터링 솔루션에 대해 더 많은 설명을 들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 위치는 한국관 내 W2561입니다. 넥스트랩 부스 확인하러 가기또한 3월 31일까지 넥스트랩이 제공하는 다음 코드를 이용해서 등록하면, 무료로 입장이 가능합니다. 4월 1일부터는 코드를 입력해도 입장료 50달러를 지불해야 하니 전시회에 참여하신다면 서두르세요!입장 코드 : LV83822무료로 등록하러 가기
유럽 통신사업자 대상 현지 PoC 진행
2023.03.03 넥스트랩에서 해외로 진출하기 위한 첫걸음으로 유럽에 다녀왔습니다~!2월 5일 일요일부터 2월 17일 금요일에 이르는 기간까지 김성민 대표님과 조우진 선임연구원님께서 프랑스, 독일, 및 네덜란드에 이르는 유럽 3개국을 방문하며 넥스트랩의 우수한 기술력을 활용한 제품과 솔루션을 선보이고 돌아왔습니다!약 2주에 걸친 일정 중에 방문한 업체는 프랑스 통신사인 Bouygues Telecom, SFR (Société française du radiotéléphone), 독일 통신사인 Vodafone, 그리고 네덜란드의 셋톱박스 제조사인 Rebox 등이 있었습니다. 이 중 Bouygues Telecom과 Vodafone에는 실시간으로 솔루션 데모를 시연했으며, 출국 전에 요청받았던 PoC도 미리 진행하여 그 결과를 발표했습니다.잠재 고객사인 유럽의 인터넷 사업자들과의 미팅뿐 아니라, 작년 IBC 2022에서 MOU를 체결한 이후로 협력하고 있는 파트너사인 프랑스 인터넷 속도 측정 업체 nPerf와의 회의 및 앞으로의 협력 방향을 다지는 것도 중요했지요. 새로운 고객을 확보하는 것만큼, 이미 맺은 인연을 소중히 여길 줄 알고 있답니다. 이번에 유럽에서 넥스트랩의 주요 제품인 STB Multimeter와 netMeter를 소개하며, 셋톱박스의 품질 검증 및 방송 품질 검증, 그리고 에러가 일어났을 때 로그를 제공하는 것 등의 기능을 설명하는 것에 중점을 뒀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기존 시나리오 기반 테스트에서 벗어난 무작위 테스트 관련 기능까지도 성공적으로 시연했습니다.비록 잠재 고객사마다 각각 차이가 있었지만, 공통적으로 인텔리전트 몽키 테스트(Intelligent Monkey Test)와 로그 패턴 기능에 대해 가장 큰 관심을 보였습니다.그럼 인텔리전트 몽키 테스트란 무엇일까요? 우선 몽키 테스트는 원숭이가 키를 누르듯이, 무작위로 여러 버튼을 누르는 테스트를 한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니까 인텔리전트 몽키 테스트는, 완전 무작위 테스트가 아니라, 특정 영역을 정해놓고 그 안에서 무작위로 테스트를 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면, 이전에 시청했던 VOD 다음 화를 재생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전에 관련 콘텐츠를 시청했기에 ‘추천 콘텐츠’ 메뉴에 해당 시리즈가 떠있으므로 그쪽으로 커서를 이동한 다음 VOD를 찾아 재생할 수도 있고, ‘다시 보기’ 메뉴에서 찾다가 재생할 수도 있으며, 검색창에서 입력한 다음 찾아서 재생할 수도 있겠지요. OTT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이 반드시 1가지 방법으로 콘텐츠 VOD를 재생하지는 않기 때문에, 고객이 VOD를 재생하기 위해 이용하는 다양한 경로를 모두 테스트할 수 있다면 실제 고객이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느낄 수 있는 화면 품질 저하나 속도 저하를 더 잘 발견할 수 있습니다. 바로 이렇게, 실제 고객의 사용 패턴과 유사하게 여러 가지 경우의 수를 포함하여 테스트할 수 있다는 것이 인텔리전트 몽키 테스트의 장점입니다. 고객의 QoE(Quality of Experience, 서비스 체감 품질)를 측정하는 데에 많은 도움이 되어주겠네요!다음으로 유럽 통신사들이 많은 관심을 보인 기능은 넥스트랩에서 제공하는 로그 뷰어를 통해서 셋톱박스의 로그 패턴을 시각화하고, 풍부한 백 데이터(back data)를 통해 오류 발생 시 그 원인을 쉽게 찾을 수 있게 해주는 기능이었습니다. 물론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 편이 가장 좋겠지만, 발생하는 경우에는 해당 에러가 왜 발생했는지를 빠르게 파악하여 조치를 취하는 것이 필요하겠죠. 셋톱박스의 logcat 로그를 그저 제공해주는 것뿐만 아니라, 프로세스별 그래프로도 보여주는 등 오류를 잡아내야 하는 QA(Quality Assurance, 품질 검증)팀이나 개발팀의 니즈에 맞춘 기능입니다.추가로 알게 된 사실은, 생각했던 것보다 우리나라가 인터넷 강국이라는 점입니다. 네트워크의 대역폭이나 망의 용량에 대해서 우리나라에서는 인터넷을 사용할 때 비교적 덜 신경을 쓰는 편인데, 유럽은 우리나라처럼 망이 전국 구석구석 깔려 있지는 않아서 그런지 네트워크 대역폭에 주의를 많이 기울입니다. 네트워크 대역폭이 불안정하기 때문에, 특정 시간대에 인터넷 속도가 갑자기 떨어진다든가 네트워크 문제로 인해서 유료 방송을 수신할 때 화면 품질 저하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더더욱 유럽에서는 오류가 발생했을 때 셋톱박스 자체의 로그와 함께 네트워크의 로그에도 관심을 가지게 되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데모를 시연했을 때, 유럽의 통신사들은 인터넷 설치 작업이나 유지/보수 작업을 할 때, 기사님들께서 정량적인 기준으로 작업을 하고 현장에서 바로 인터넷 속도 및 IPTV 품질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해주는 넥스트랩의 netMeter에 많은 관심을 보였습니다. <고객사와의 미팅이 끝나고 저녁은 유럽에서 여러 모로 도움을 준 고마운 Martin과 함께!>전반적으로 이번 유럽 출장은 우리나라와 다른 네트워크 환경에서도 넥스트랩의 솔루션이 잘 실행되고, 충분히 경쟁력이 있다는 점을 확인할 소중한 기회였습니다. 또한 로그 분석 및 에러 발생 원인을 사용자가 빠르고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친화적인 UI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게다가 넥스트랩의 현재 강점뿐만 아니라, 해외 시장에서 더욱 필요로 하는 부분을 파악하고, 그 정보를 토대로 앞으로 나아갈 방향에 대한 확신도 얻을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네트워크 로그를 캡처하고 분석하는 기능에 대해서 유럽 통신사들은 관심이 많았는데, 이런 기능들을 구현할 준비를 하면서 이번 출장으로 인해 국내 시장과 해외 시장에서 잠재 고객사들이 원하는 부분은 명확하게 다르다는 점을 알 수 있었습니다.해외 시장의 수요를 확인한 덕분에 3월 말까지 네트워크 로그 관련 기능이 들어간 새로운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도록 계획을 잡을 수 있게 되었네요! 해외 PoC를 하지 않았더라면 알기 어려운 정보였을 텐데, 여러 모로 귀중한 경험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비록 첫술에 배부르지는 않겠지만, 이렇게 차근차근 해외 시장에서 무엇을 필요로 하는지 직접 방문하여 대면 회의를 통해 파악하고, 지금도 국내에서 인정받는 셋톱박스 성능 테스트 솔루션들을 해외 시장에 맞춰서 확장한다면 언젠가는 세계로 뻗어나가는 넥스트랩이 될 수 있을 거라고 믿어 의심하지 않습니다!
AI 기반 야외 주차 관제 자동화 기술 개발 성공
2023.02.02 넥스트랩이 KSI㈜와 협력해서 야외 주차 관제 자동화 기술을 성공적으로 개발했어요~!지난 2022년 11월, 안양시 삼덕공원 야외주차장에서 양사 관계자와 수요기관 담당자 앞에서 데모 시연도 잘 마쳤고, 현재 공동특허 출원을 추진 중이랍니다.이 기술을 이용하면 넓은 야외 주차장도 구획을 설정해서 관리가 가능하고, 다양한 방향에서 CCTV가 자동차를 촬영해도 AI를 기반으로 기존보다 더 높은 정확도로 차량을 잘 인식할 수 있답니다! 또한, 스마트 주차솔루션에 접목하여 대형 쇼핑몰 등에서 운영하는 실내 주차장에서 제공하는 “내 차 찾기” 기능을 야외 주차장에서도 이용할 수 있습니다.다음은 인공지능신문에 나간 기사 전문입니다.출처: https://www.aitimes.kr/news/articleView.html?idxno=27165 <개발 기술 내용 개요>인공지능 비전 전문기업 넥스트랩(대표 이창근)과 통합 스마트 주차 시스템 전문기업인 케이에스아이(대표 김경숙. 이하, KSI)가 인공지능 기반 야외 주차 관제 자동화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18일 밝혔다.
AI 기반 야외 주차 관제 자동화 기술은 야외 주차장에 설치된 여러 대의 CCTV 영상 인식 정보를 통합하여 주차 공간의 위치에 상관없이 주차된 차량들의 주차 위치와 정보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차장을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차량번호만으로 정확한 위치를 알려줄 수 있는 기술이다.
이 기술로 대형 실내 주차장에서 주로 제공하는 '내 차 찾기' 기능을 야외 주차장에서도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구축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관제 자동화 기술에 사용된 넥스트랩 측의 차량 인식(Vehicle Detection), 차종 인식(Vehicle Type
Recognition), 그리고 번호판 인식(License Plate Recognition) 기술은 이미 경찰차 탑재 번호판 인식 모듈과 중고차 거래 플랫폼에 적용되어 그 효과를 검증한 바 있다.
넥스트랩의 이창근 대표는 “이번에 개발한 기술 중 특히 의미가 있는 기술은 다양한 촬영 각도에서 촬영한 차량 중에서 동일 차량을 찾아내는 인식 알고리즘을 AI 기반 차량 인식 기술을 조합하여 기존 기술들보다 높은 정확도를 가지도록 개발에 성공하였다는 것이다.”라고 밝혔다.
KSI 김승호 이사는 “이번에 개발한 기술을 스마트 주차솔루션에 접목함으로써 오토바이, 자전거, 리어카 등 기타 물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실시간 주차정보의 오차를 줄여 더욱 명확하게 주차정보를 제공함은 물론 주차 예약부터 결제까지 원스톱으로 이용이 가능한 스마트 주차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어 주차장 운영자에게는 효율적인 관리를 제공하고, 이용객에게는 편의를 제공하여 스마트 주차솔루션을 한층 더 발전시켰다”고 밝혔다.
한편, KSI는 2003년도에 설립되어 지능형 영상 시스템, 통합관제 시스템, 불법주정차 시스템, 주차관제 시스템, 이륜차 단속 시스템, 스마트시티 솔루션(스마트 횡단보도, 스마트 주차정보 제공 및 통합, 어린이보호구역, 스마트 버스정류장) 등에서 탁월한 기술 및 사업 역량을 인정받고 있으며, 공공시설 설계부터 스마트시티 조성사업까지 차별화된 디자인과 첨단기술이 어우러진 시스템 개발 역량과 품질 경쟁력으로 4차 산업혁명에 앞서가는 혁신형 기업이다.
넥스트랩은 2012년에 설립되었으며, 비전 AI 기술과 디바이스 하드웨어를 융합한 검사 계측, 자동화 테스트 솔루션을 전문적으로 제공하는 기업이다. 현재 셋톱박스 성능 및 인터넷 속도 측정 솔루션, 융합 기술 기반 자동차 인식 솔루션, 그리고 공장에서 AI를 활용한 이물 검출 솔루션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분야에서 인공지능과 딥러닝을 활용한 솔루션을 연구 및 제공하고 있다.
비용과 인력을 절감하는 실시간 방송 모니터링 서비스 출시
2022.12.23 넥스트랩에서 실시간 방송 모니터링 서비스를 오픈했습니다. 이제 더 이상 수동으로 여러 화면을 보며 모니터링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 실시간 모니터링 솔루션을 활용하시면, 자동으로 24시간 동안 지속 모니터링을 하고 에러가 발생하면 자동으로 알람을 송출하기 때문에 모니터링 엔지니어가 실수로 놓칠 수도 있는 부분까지 잘 잡아줍니다. 또한, 모니터링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되며, 쉽고 직관적인 UI로 실제 모니터링 업무를 하시는 분들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기존 모니터링 솔루션을 사용하시다가 혹시 ‘기능이 너무 많아 내가 원하는 기능을 찾아서 사용하기 어렵네.’ 하는 생각을 해보신 적 있으신가요? 이번에 넥스트랩에서는 ‘모니터링을 어떻게 하면 쉽고 간단하게 할 수 있을까’에 대해 고민했고, 그 결과 모니터링에 필요한 필수 기능들을 모아 사용자가 설정하고 조작하기 편리하게 제공합니다. 실제로 모니터링을 수행하시는 분들의 입장에서 가장 필요한 기능들을 준비했어요. 물론, 이게 끝이 아니며 TS 품질 모니터링과 같은 더 많은 기능도 활용 가능합니다![넥스트랩 실시간 모니터링 맞춤형 서비스 주요 기능]- 자동으로 영상과 음량 이상 탐지
- 이상이 발견되었을 때 알람 송출 및 자동으로 복구 시도 - 자리에 없어도 원격으로 리모컨을 통해 모니터링 화면 조작 가능 - 채널 이름과 숫자 및 콘텐츠가 변경되었을 때 자동으로 확인 후 업데이트하는 기능 - OTT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가능- 쉽고 사용자 친화적인 모니터링 프리셋 설정 위 사진에서 보시다시피, 모니터링하고 싶은 채널들을 설정하기만 한다면 영상과 음량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어요. 그런데 여기서 놀라운 사실! 저희 솔루션은 사람이 일일이 이 화면들을 들여다보지 않아도, 자동으로 영상과 음량을 확인하고, 심지어 영상 및 음성 품질에 이상이 생겼을 때 자동으로 복구 시도까지도 합니다! <에러가 발생한 채널들에 대해 한눈에 모아볼 수 있는 페널티박스! 정말 편리하죠? >이상 현상이 발생하면 우선 알람이 가게 되고, 자동 복구 시도를 시작합니다. 사용자가 설정한 복구 횟수 및 절차에 맞춰 자동 복구를 시도했는데도 불구하고 해당 현상을 고칠 수 없다면, 에러와 함께 표시해 줍니다. 최대 4개의 슬롯을 동시에 띄워줄 수 있습니다.또한, 어떤 에러가 어느 채널에 얼마나 자주 일어났는지, 기간을 정해서 한눈에 보는 대시보드 기능도 있고요, 에러 발생 당시의 영상 및 페널티박스 알람에 대한 간단한 로그 기록까지도 제공합니다!사용 방법은 간단합니다. 저희 제품인 STB Multimeter와 OTT 셋톱박스를 연결 후, 슬롯에 미리 만들어진 스케줄을 걸기만 하면 자동으로 맞는 채널로 이동 및 화면과 음량 이상 유무를 확인합니다. 모니터링에 필요한 기능을 위해 미리 준비한 스크립트로 채널 이름, 번호, 그리고 측정 시간 등이 설정된 프리셋 기능이 제공되는데요, 그대로 사용하셔도 손색없지만 수정하고 싶으시다면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편리하게 수정해서 사용하실 수도 있습니다.그렇게 정해진 스케줄대로 모니터링을 자동으로 수행하다가, 이상이 없으면 계속해서 처음부터 모니터링하고, 이상이 발생한다면 자동으로 복구 동작을 실시하게 됩니다. 복구가 되지 않으면 페널티박스에 알람과 함께 송출되어 표시됩니다. 그뿐만이 아니라, 채널이 변경되었을 때도 미리 설정해둔 스크립트를 이용해 자동으로 채널 숫자와 이름을 확인하고, 업데이트까지 해서 관리를 쉽게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고객의 댁내 환경과 동일한 환경에서 고객의 체감 품질(QoE)을 모니터링 가능하답니다! 고객에게 더 좋은 유료 방송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모니터링 업무를 한층 더 편하게 해주는 자동 모니터링 솔루션! [email protected]로 문의해주시면 더 자세한 정보를 제공해 드립니다.
유료방송서비스 품질평가 (2) - 평가 기준
2022.12.12안녕하세요~! 지난번에는 유료방송서비스 품질평가가 무엇인지, 그리고 왜 실시하는지 등에 대해서 알아보았었는데요, 이제부터는 그 평가 기준들에 대해 자세히 다뤄보려고 해요.여러 평가 기준 중 오늘 첫 타자로 살펴볼 것은 ‘채널 전환 시간’이에요. 말 그대로 방송 채널을 변경하는 데에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고, 그 결과값을 보는 거예요. 구체적인 수동 측정 방법으로는 시청 중인 채널을 사람이 직접 리모컨으로 변경하고, 걸리는 시간을 측정합니다.채널 전환 시간유료방송서비스 품질평가에서 채널 전환 시간을 볼 때 2가지 측면에서 보는데요, 하나는 해상도별로 채널 전환 시간을 보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전환 유형별로 보는 것입니다.그럼 첫 번째로 해상도별 채널 전환 시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까요?유료방송서비스 품질평가에서 해상도별 채널 전환 시간을 볼 때, HD 화질에서 HD 화질로, HD에서 UHD 화질로, UHD 화질에서 UHD 화질로 보기도 하고, SD 화질에서 SD로, SD에서 HD 화질로, SD에서 UHD 화질로 총 6가지 방식으로 봅니다. 해상도는 SD→HD→UHD 순서로 화질이 더 좋아집니다. 2021년도에 실시한 평가 결과를 보면, 평균적으로 UHD에서 UHD 화질로 전환했을 때 시간이 가장 길었고, 반대로 SD 화질에서 다른 SD로 바뀐 경우는 채널 전환 시간이 가장 짧았습니다. 아무래도 UHD 화질이 가장 선명한 해상도라 픽셀 숫자가 많고 SD 화질은 초창기 DVD에서 쓰이던, 유튜브 등 동영상 스트리밍 플랫폼에서는 480p로 설정하는 화질이기에 채널 전환을 할 때 처리해야 하는 데이터양이 차이가 나게 되고, 그래서 이런 결과가 나온 듯 해요.다음으로 전환 유형별 채널 전환 시간을 보자면, 인접 채널 전환 시간과 비인접 채널 전환 시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인접 채널은 서로 붙어있는 채널(7번 채널을 시청 중이라면 6번과 8번 채널이 이에 해당합니다)이라, 리모컨의 채널 up/down 버튼을 통해 빠른 변경이 가능한 채널들입니다. 그래서 그런지 셋톱박스는 우리가 한 채널을 시청하고 있을 때 인접 채널의 정보를 미리 일부분 불러오고, 따라서 채널을 전환할 때 인접 채널 전환 시간이 조금 더 빠르다고 합니다. 비인접 채널은 인접 채널이 아닌 모든 채널입니다. 2021년도 평가 결과에서도 인접 채널 전환 시간이 비인접 채널 전환 시간에 비해서 약 0.2초 정도 더 빠르게 나왔지요. 셋톱박스 시작 시간두 번째 유료방송서비스 품질평가 평가 기준은 셋톱박스 시작 시간입니다. 이 시간은 이용자가 셋톱박스 전원을 켠 후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시점까지 걸리는 시간인데요, 작년 평가 결과를 보면 평균적으로 약 2.9초 정도가 걸렸습니다. 이 셋톱박스 시작 시간은 두 가지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는데, 하나는 대기 모드였던 셋톱박스를 다시 켜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전원까지 차단하여 셋톱박스를 완전히 끈 후 다시 켜는 것입니다. 유료방송서비스 품질평가에서는 이 두 가지 방식 중 대기 모드 상태인 셋톱박스를 켰을 때, 이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는 시점까지 시간을 측정하여 평가합니다. 실제로 가정에서도 TV를 보다가 끄고 셋톱박스도 끌 때, 전원까지 완전히 끊지 않는 이상 셋톱박스가 완전히 꺼지는 게 아니라 대기 모드로 돌아간다고 하네요! 채널별 음량 수준다음 유료방송 평가 기준으로는 채널별 음량 수준이 있는데요, 유료방송 평가에서는 채널별 음량을 데시벨로 측정하지 않고, LKFS라는 단위로 측정합니다.그럼 LKFS란 무엇일까요? 그건 바로 Loudness, K-weighted, related to Full Scale의 약자로, 사람이 실제 듣는 상대적인 크기를 고려하여 계산된 음량 값의 표준 단위랍니다. 보통 방송 프로그램의 표준 음량은 평균 음량을 -24LKFS로 규정하는데, 이 값은 최대 음량을 0으로 설정했을 때 사람이 가장 편안하게 들을 수 있는 음량을 일컫습니다. - 뒤에 붙은 수치가 높을수록 소리가 작아집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제정한 행정규칙인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프로그램 음량 등에 관한 기준에 따르면, ‘음량’의 정의는 인간이 느끼는 소리의 감각적 크기를 실험적으로 구한 값을 말합니다. 그리고 ‘LKFS’는 사람의 청각 인지 특성을 고려하여 계산된 음량 값의 표준 단위를 말하며, LKFS 단위에서 1dB의 레벨 증감은 1LKFS의 음량 값의 증감과 동일하다고 합니다. 유료방송서비스 품질평가에서 데시벨이 아닌 LKFS 단위로 측정하는 이유는, 이것이 국제적으로 합의된 방송·음향 분야 단위이기도 하고, 데시벨과 비교했을 때 비록 증감의 단위는 같지만 그래도 사람에게 더 잘 맞춰진 단위이기 때문입니다.2021년도 유료방송서비스 품질평가 결과로 본 채널 음량 수준은 모든 방송사가 표준 음량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났고, 채널별 음량 편차는 약 1.5dB로 방송 프로그램별 음량 허용 오차인 2dB을 넘기지 않고 정부에서 제시한 방송 프로그램별 표준 음량 기준을 준수했습니다.콘텐츠 다양성 콘텐츠 다양성은 각 사업자가 제공하는 최상위 상품 기준 실시간 채널 숫자를 봅니다. 무료 채널과 유료 채널의 숫자 모두 포함하여 평가하는데, 2021년도 평가 결과로는 평균 약 254개로 나왔네요. 또한 VOD를 장르별로 나누어 그 개수와 비율을 보는데요, 그 장르는 영화/해외 드라마, 애니메이션, TV 다시 보기, 교육, 다큐멘터리, 스포츠, 음악(영상), 키즈, 기타로 나뉩니다. 그중에서 TV 다시 보기는 또 드라마, 예능/오락, 시사/교양, 기타 등 세부적으로 구분됩니다. 2021년에는 영화/해외 드라마 장르가 전체 평균 약 32.6%로 가장 많은 수의 VOD가 여기에 해당하였네요!VOD 광고 시간VOD(Video On Demand-주문형 비디오)를 결제하면 보통 재생 전에 광고가 나오는데, 유료방송서비스 이용자가 콘텐츠를 보기 전 광고가 지나치게 오래 나오면 이용자 만족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광고 지속 시간 및 횟수가 품질평가 기준에 들어갑니다. 2021년도 유료방송서비스 품질평가 결과에 따르면 평균 광고 시간은 IPTV 평균 약 23초 정도였고, MSO 평균 약 12초였으며, 중소 SO 평균은 약 6초였습니다. 전체 18개 사업자의 평균 광고 횟수는 약 0.5회였고요.이처럼 유료방송서비스 품질평가의 정량평가 기준에 맞추기 위해서, 유료방송서비스 사업자는 정기적으로 셋톱박스 성능을 자체 테스트합니다. 테스트 방식은 업체마다 다르겠지만, 만약 이러한 테스트 업무를 자동화할 수 있다면 어떨까요? 업무 시간과 비용을 상당히 단축할 수 있겠죠!넥스트랩에서는 스크립트로 테스트 시나리오를 구성해서, 셋톱박스 시작 시간과 채널 전환 시간, 그리고 채널별 음량 수준 모두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IPTV 서비스를 제공하는 우리나라 3대 통신사(SK, KT, LG U+)가 모두 활용하는, 검증받은 솔루션이지요. 넥스트랩의 솔루션을 도입한 후 QA 생산성이 40% 이상 향상되었고, 재장애발생률을 50% 절감하여 고객 품질 관리 효율이 향상했다는 고객사의 평가가 있었습니다. 위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저희 제품과 셋톱박스를 연결하여 유료방송서비스 품질평가의 평가 기준에 해당하는 셋톱박스 시작 시간과 채널 전환 시간을 테스트 시나리오를 통해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어요!이제 2022년도 얼마 안 남았으니, 올해의 유료방송서비스 품질평가 결과도 곧 나오겠네요. 유료방송 평가 기준에 따라 자동으로 방송 서비스 품질을 측정해보고 싶으시거나 더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다면, [email protected]로 편하게 문의 주세요~